최근 성시경의 유튜브 채널에서 공개된 영상에서 배우 주지훈과 김희철과 술을 한잔 하며 나눈 대화 내용이 화제입니다. 이들은…
기사 이어보기 (+사진)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목표 비율을 30%로 제시했다. 고정금리 대출을 늘려 금리 변동 시기에 차주의 리스크를 완화한다는 취지다.
금융감독원은 오는 4일부터 이 같은 내용의 금융권 주담대 구조 개선 신(新)행정 지도를 시행한다고 3일 밝혔다.
금감원은 2014년부터 고정금리·비거치식 분할상환 대출 비중을 확대하도록 행정지도를 실시해 왔다. 그 결과 은행 전체 주담대의 고정금리 비중은 2014년 23.6%에서 지난해 51.8%로, 비거치식 분할상환 비중은 26.5%에서 59.4%로 개선됐다. 고정 금리에 첫 달부터 원금까지 꼬박꼬박 갚아나가는 차주들이 많아졌다는 뜻이다.
하지만 정책 모기지를 제외한 은행 자체 주담대의 고정금리 비중은 여전히 낮고, 은행 자체 고정금리 상품 중에서도 순수 고정금리보다 5년만 금리가 고정되고 이후 변동금리를 적용하는 혼합형 금리 대출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황이다.
이에 금감원은 은행 자체 주담대의 고정금리 목표비율을 신설하기로 하고, 올 연말에 달성해야 할 목표치를 30%로 설정했다. 현재 18% 수준인 은행권 주기형 대출 비중과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도입에 따른 주기형 대출 확대 유인 등을 고려해 결정했다. 자체 주담대 중 약정만기 5년 이상의 순수고정 또는 금리변동 주기가 5년 이상인 주기형 주담대면 고정금리 대출로 인정된다.
정책모기지를 포함한 전체 주담대의 올해 고정금리 목표비율은 은행 52.5%(장기주담대 71%), 보험 60%로 지난해와 동일하다. 비거치식 분할상환 주담대 목표비율은 지난해보다 소폭 상향했다. 은행은 60%에서 62.5%로 2.5%포인트, 보험은 72.5%에서 77.5%로 5%포인트 올렸다. 상호금융권의 분할상환 목표비율도 50%에서 55%로 5%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금감원은 “은행 자체 고정금리 대출 확대 등 금융권 가계대출 질적 구조 개선을 지속 추진하겠다”며 “은행권 장기 고정금리 확대를 위한 장기 자금조달 여건 개선을 위해 커버드본드(금융사가 주담대, 국·공채 등 우량자산을 담보로 발행하는 담보부채권) 활성화 등 제도 개선을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스마트폰을 통해 비대면으로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과 전세대출을 갈아탈 수 있는 대환대출 서비스 출시를 앞두고 은행권의 고객 유치전도 달아오르고 있다. 업계에서는 은행별 금리 경쟁력이 흥행을 좌우할 것이라는 관측과 함께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증가세를 경계하고 있는 만큼, 대환대출이 은행권의 새로운 대출 성장 전략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금융위원회는 연말 또는 내년 1월쯤 비대면으로 주담대출과 전세대출 금리를 비교하고 유리한 조건의 상품으로 갈아탈 수 있는 서비스를 출시한다.
금융권에서는 앞서 선보였던 신용대출 대상 비대면 대환대출이 흥행했던 만큼, 주담대·전세대출 또한 대환 수요가 상당히 많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 5월 개인신용대출을 대상으로 하는 대환대출 플랫폼이 출시된 이후 지난 10일까지 2조 원 이상의 신용대출 갈아타기가 이뤄졌다. 총 8만 7843명의 금융소비자가 대출을 갈아탔으며, 이들이 아낀 이자는 연간 약 398억 원이다.
특히 주담대의 경우 신용대출보다 차주별 대출 규모가 큰 만큼, 비대면 대환대출 도입 이후의 자금 이동 규모는 수백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1049조 1000억 원이다. 이 중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잔액만 500조 원이 넘는다.
이에 시중은행들은 비대면 대환대출 특화상품을 내놓는 등 대비에 한창이다. KB국민은행은 최근 KB스타뱅킹에서 신청할 수 있는 ‘KB 스타 아파트담보대출’을 출시했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도 각각 대환대출 전용 주담대 ‘은행갈아타기 특별금리’와 ‘하나원큐 아파트론’을 위주로 대환대출 시장에 대응한다. 우리은행은 주담대 대환대출 관련 태스크포스팀(TFT)을 만들고 비대면 부동산 상품을 리뉴얼, 특화 상품을 출시할 방침이다.
관건은 어느 은행의 금리가 더 경쟁력이 있는지다. 하나의 플랫폼에서 개별 은행들의 상품이 직관적으로 비교되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 초 인터넷전문은행들이 낮은 금리를 무기로 내세워 시중은행의 고객들을 유치했던 만큼, 대환 상품의 금리가 얼마나 낮은지에 따라 초기 흥행 여부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뱅크의 경우 지난해 3분기 5040억 원 수준이던 주담대 잔액이 지난 3분기 7조 9580억 원으로 15배 이상 성장했다. 이중 절반 가까이가 시중은행에서 넘어온 대환대출 금액이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신용대출 대환 서비스가 시작됐을 때도 일부 은행들은 초반에 대응을 안 하다가 고객들을 뺏긴 경험이 있다”며 “이번에 주담대 대환 서비스가 나오면 은행마다 초기 금리 정책을 어떻게 가지고 갈 것인지가 희비를 가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각에서는 대환대출이 은행권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금융당국이 가계대출을 억제하겠다고 나선 상황에서 신규 주담대를 늘리기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대환대출 플랫폼을 통해 다른 은행의 대출을 끌어와 성장을 이어갈 수 있다는 것.
다른 은행권 관계자는 “최근 고금리 시대에 차주 입장에서는 단 0.1%p라도 금리가 낮은 은행으로 지체 없이 갈아탈 것”이라며 “신규 주담대를 늘리기에는 당국의 눈치가 보이는 상황이라 대환대출 플랫폼을 통한 대출 유치 경쟁이 뜨거워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